반응형 131회15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문제풀이, 고온수 난방시스템의 가압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도도한 쭌냥이 1. 글을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글 쓰는 아빠 도도한 쭌냥입니다. 오늘 풀어볼 문제는 고운수 난방시스템과 관련된 문제입니다. 난방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물을 일정압력 이상까지 가압하여 물의 온도를 100℃ 보다 높게 가져가게 됩니다. 이때 물을 가압하는 방식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합니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고온수 난방시스템이란? 고온수 난방 시스템은 100℃ ~ 200℃ 사이의 난방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당히 위험한 시스템입니다. 이에 따라서 특수건물, 공장, 지역난등에 주로 사용되며, 난방계통 내부를 가압하여 물의 끓는점을 높일 수 있도록 별도의 가압장치가 구성됩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보일러 사용하여 물을 가열, 별도의 가압장치를 통해 가압하며, .. 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2024. 2. 28.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문제풀이, 냉매배관 종류 중 SPP관, SPPS관, SPW관, SPLT관, 인탈산동관에 대하여 각 배관별 특징과 사용온도, 사용압력을 설명하고, 각각의 KS규격을 표기하시오. 도도한 쭌냥이 1. 글을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글 쓰는 아빠 도도한 쭌냥입니다. 오늘은 냉매배관의 종류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외워야 할 것이 이렇게 많다니 엔지니어도 3D 업종이 분명합니다. 그럼 시작해 보겠습니다. 2. 냉매배관의 종류 2.1 SPP관(배관용 탄소 강관) 특징 : 널리 사용되고 일명 가스관이라고도 하며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아연도금 실시 적용 : 사용 압력이 비교적 낮은 증기, 물(상수도용은 제외), 기름, 가스 공기등의 배관에 사용하는 탄소강관 사용온도 : 350℃ 이하 사용압력 : 1 MPa 이하 KS 규격 : KS D 3507, 배관용 탄소 강관 2.2 SPPS관(압력 배관용 탄소강관) 특징 : 보일러에 주로 사용 적용 : 증기나 유체의 수압관에 사용 사용온도 : 350℃ 이하.. 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2024. 2. 23.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문제풀이, 공조기 운전과정에서 재열부하에 대하여 공기선도를 도시하고 설명하시오. 도도한 쭌냥이 1. 글을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글 쓰는 아빠 도도한 쭌냥이입니다. 오늘은 재열부하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합니다. 오랜만에 습공기 선도를 작도해 보겠네요. 습공기 선도에 직접 작도하는 것은 아니고 심플한 모형으로 작도할 예정입니다. 자! 그럼 공부 시작해 보겠습니다. 2. 재열부하 2.1 재열부하 습공기선도 및 공조기 심플 모델 외기(1)와 환기(2)가 혼합되어 혼합공기(3)가 된 후 냉각코일을 통과하여 조화공기(4)의 상태가 됩니다. 조화공기(4)가 재열코일을 통과하여 조화공기(5)의 상태가 된 후 실내로 취출 되는 사이클입니다. ※ 그림을 너무 못 그렸네요. 너그러이 용서해 주시기 바랍니다. 꾸벅. 2.2 재열부하의 특징 재열부하는 냉방 시 발생하게 됩니다. 실내 또는 특정 공간에 취출 .. 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2024. 2. 21.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문제풀이, Night purge Control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도도한 쭌냥이 1. 글을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글 쓰는 아빠 도도한 쭌냥이입니다. 오늘은 외기 냉방의 일종인 night purge control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에너지 효율 증대이며 일종의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2. Night Purge Control(=Night Cooling Control) HVAC 시스템에서 night purge control은 건물 내부의 환기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기술적인 제어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주로 건물이 사용되지 않는 야간에 활용되며, 여름철에 높은 온도와 습도로 인해 발생하는 더위와 불쾌한 환경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여름밤에.. 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2024. 2. 17.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문제풀이, 공기조화설비에서 조닝(zoning)에 필요한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도도한 쭌냥이 1. 글을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글 쓰는 아빠 도도한 쭌냥이입니다. 공간의 넓이 및 용도 등을 고려하여 동일 부하 특성 가지는 공간끼리 공조 방식이 동일하도록 구획하는 조닝에 대한 문제를 풀어 보고자 합니다. 실무와 이론이 다를 수 있지만 이론을 기초로 실무가 이루어지는 바 해당 내용도 업무 시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오니 열심히 공부하도록 합시다! 2. 조닝이란? 건물 내부는 방위, 시간, 용도에 따라 열부하 특성이 달라지는데 부하 특성이 유사한 공간끼리 묶어 하나의 동일 공조 구역으로 설정하는 작업을 조닝이라고 합니다. 조닝을 통해 아래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에너지 효율 증대 공조 설비의 유지, 보수, 관리 용이 관련 설비의 효율적인 운전 3. 조닝에 필요한 요소(고려사항) 위.. 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2024. 2. 15.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문제풀이, P.A.L(연간열부하계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도도한 쭌냥이 1. 글을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글 쓰는 아빠 도도한 쭌냥이입니다. 오늘은 연간열부하계수(Perimeter Annual Load)에 대한 문제를 풀어보려고 합니다. 해당 계수는 외주부의 단열성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하는 지표입니다. 2. PAL의 정의 외주부의 연간 부하는 건물 외피의 에너지절약 정도를 나타냅니다. 외벽, 창 등의 단열, 일사차폐, 평면 등에 대한 고려가 반영되었으며, 연면적 2,000㎡ 이상 신축 건축물은 PAL 적용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Perimeter Zone(외주부) 설비설계가 적용되며 외벽, 창 등을 통한 외부 기상조건의 영향을 받는 건축물의 내부공간 연간열부하 건물사용(공조운전)의 표준스케줄을 정하고 이 기간에 발생하는 난방부하와 냉방부하 연간 적산 치를 합한 .. 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2024. 2. 14.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문제풀이, 새집증후군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인 베이크아웃(Bake-out)과 플러시아웃(Flush-out)에대하여 설명하시오. 도도한 쭌냥이 1. 글을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글 쓰는 아빠 도도한 쭌냥이입니다. 오늘은 새집증후군 예방을 위한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실용적인 문제가 기술사 문제로 출제되었네요. 알고 있으면 상식으로도 좋은 내용 같습니다. 그럼 문제 풀이 시작하겠습니다. 2. 새집증후군 새집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 SBS)은 건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증상을 설명하는 용어로, 특히 새로 지어진 건물이나 신축 주택에서 빈번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증후군은 건물 내부의 환경이나 공기 품질과 관련이 있으며, 아래와 같은 증상들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두통: 건물 내 공기 중의 화학 물질, 미생물, 혹은 기타 유해 물질로 인해 발생 피로감: 실내 공기 품질이 좋지 않을 때, 질소 .. 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2024. 2. 13.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문제풀이, 배관 시공시 용접이음과 나사이음의 장/단점을 비교 설명하시오. 도도한 쭌냥이 1. 글을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글 쓰는 아빠 도도한 쭌냥이입니다. 오늘은 공조냉동기계기술사 기출문제 중 배관이음 관련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배관뿐만 아니라 덕트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한 방법이오니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시작해 보겠습니다. 2. 배관 시공 배관 시공 시, 고려해야 하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계획 및 설계 자재 선택 현장준비 기초공사 배관설치 접속 및 연결 압력 시험 및 점검 완료 및 유지보수 이 중에서 저희는 접속 및 연결 부분에 해당하는 용접 이음과 나사 이음 두 가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대규모 공사의 경우 누수 우려가 낮은 용접 이음을 사용하고, 소규모 공사의 경우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나사 이음을 적용합니다. 3 용접.. 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2024. 2. 12.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기출문제 풀이 모음 도도한 쭌냥이 안녕하세요. 글 쓰는 아빠 도도한 쭌냥이입니다.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기출문제 풀이를 아래와 같이 모아 봤습니다. 공부하시는데 도움 되셨으면 합니다. 1교시 2024.01.20 - [다시 시작하는 공부] -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문제 풀이, 비등에 대하여 종류별로 열거하고 그 내용을 설명하시오.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문제 풀이, 비등에 대하여 종류별로 열거하고 그 내용을 설명하시오. 도도한 쭌냥이 안녕하세요. 도도한 쭌냥이입니다. 이번 연도에는 꼭 기술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말겠다는 각오로 기출문제를 한 번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1. 비등(boiling)의 정의 고체와 액체의 접 junnyangi.tistory.com 2024.01.29 - [다시 시작하는 공부] - 공조.. 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2024. 2. 6.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문제풀이, 밀폐형 팽창탱크와 개방식 팽창탱크를 비교 설명하시오. 도도한 쭌냥이 1. 글을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글 쓰는 아빠 도도한 쭌냥이입니다. 오늘은 기술사 문제 밀폐형 팽창탱크와 개방식 팽창탱크 관련하여 비교 설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재미있게 따라와 주시면 좋겠어요. 2. 팽창탱크란? 유체는 온도에 따라 체적이 변하게 되는데 시스템 내부 유체의 체적 변화율을 흡수하기 위해 설치되는 장치가 팽창탱크입니다. 특히 보일러 같은 경우 온수를 생산하며 냉수가 온수로 바뀌면서 체적이 증가하고 시스템 내부에 압력이 상승하게 됩니다. 체적 증가에 따른 압력 상승 시, 이를 배출하여 배관 및 장치 파손을 예방하기 위해서 체적 팽창을 흡수할 수 있는 팽창탱크를 설치합니다. 3. 사용처 보일러와 같은 온수 생산 설비 자동차 라디에이터 4. 팽창탱크의 종류 4.1 밀폐형 팽창탱크 .. 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2024. 2. 6.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문제풀이, 액백(Liquid Back)의 원인과 방지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도도한 쭌냥이 1. 글을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글 쓰는 아빠 도도한 쭌냥이입니다. 에어컨에 문제가 발생해서 장비를 확인해 보면 압축기의 진동, 증발기 출구 측의 결빙 등의 문제를 접하게 됩니다. 냉매가 액상으로 압축기로 유입되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런 현상을 액백 (Liquid Back) 또는 floodback 또는 액압축이라고 하는데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액백이란? 증발기에서 증발한 기체상태의 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된 후 고온고압으로 압축되어 응축기로 이동하는 것이 정상적인 냉매 system의 상태입니다. 하지만 증발기에서 완전히 증발하지 못한 냉매가 액상으로 압축기로 유입되어 문제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 현상을 액백이라고 합니다. 3. 액백의 원인 증발기 착상 증발기 표면에 .. 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2024. 2. 3.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문제풀이, 자연대류에 이용되는 중요한 무차원수를 설명하시오. 도도한 쭌냥이 1. 글을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글 쓰는 아빠 도도한 쭌냥이입니다. 무차원수는 여러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특정한 단위에 의존하지 않으며, 다양한 실험 및 상황에서의 결과를 비교하거나 특정 물리적 현상을 일반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여러 가지 무차원수가 다양한 물리적 현상에 대한 특정 특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오늘은 자연대류와 관련된 무차원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자연대류와 관련된 무차원수 자연대류(natural convection)는 유체의 밀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대류 현상입니다. 온도 변화로 인한 밀도의 차이 때문에 발생하며, 높은 밀도를 가진 차가운 부분이 하강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를 가진 뜨거운 부분이 상승함으로써 발생합니다. 이러한 대류 현상은 외력.. 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2024. 2. 2.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