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출문제62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2교시, 5번, CA냉장방법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각각 설명하시오. 1. 문제 2. CA(Controlled Atmosphere)냉장방법CA 냉장이란 저장고 내의 산소(O₂), 이산화탄소(CO₂), 질소(N₂)의 농도를 조절하여 식품(특히 과일과 채소)의 호흡을 억제하고 저장 기간을 연장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재래법, Generator법, Oxtrol식(병용법) 등이 있습니다. 재래법 (Traditional Method)저장고를 밀폐하고, 내부의 산소(O₂) 농도를 자연적인 호흡 작용을 통해 감소시키는 방법 저장고를 밀폐한 후, 저장된 농산물 자체의 호흡 작용에 의해 산소 농도가 낮아지고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함특정한 가스를 인위적으로 주입하지 않고, 자연적인 과정에 의존하여 CA 환경을 조성조성되는 가스 비율을 세밀하게 조정하기 어려우며, 초기 CA.. 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2025. 3. 9.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1교시, 9번, 이원냉동사이클(Two-stage Cascade Refrigeration Cycle)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문제 2. 이원냉동사이클이원 냉동 사이클(Two-stage Cascade Refrigeration Cycle)은 서로 다른 두 개의 냉매를 사용하는 이단 계단식 냉동 사이클입니다. 주로 극저온이 필요한 환경에서 사용되며, 하나의 단일 냉매로 달성하기 어려운 낮은 온도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주요 특징 두 개의 독립적인 냉동 사이클이 서로 연결되어 있음고온 사이클(상부 사이클)과 저온 사이클(하부 사이클)로 구성됨열교환기(중간 열교환기, Cascade Heat Exchanger)를 통해 두 사이클이 연결됨서로 다른 두 개의 냉매를 사용하여 성능을 최적화 동작 원리고온 사이클(상부 사이클) 일반적인 냉동 사이클과 유사하며, 냉매가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의 상태가 됨응축기를 통해 열을 방출하여 .. 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2025. 3. 8.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1교시, 10번, 냉동 장치에 사용되는 증발압력 조절밸브(EPR), 흡입압력 조절밸브(SPR), 응축압력조절밸브(CPR)에 대하여 설치 위치와 사용 목적을 각각 설명하시오. 1. 문제 2. 요약밸브종류설치 위치사용 목적EPR (증발압력 조절밸브)증발기 출구 ~ 압축기 흡입관 사이증발압력 유지, 증발기 보호SPR (흡입압력 조절밸브)압축기 흡입구 앞압축기 보호, 흡입압력 조절CPR (응축압력 조절밸브)응축기 출구 ~ 팽창밸브 사이응축압력 유지, 시스템 안정화 3. 증발압력 조절밸브(EPR, Evaporator Pressure Regulator)설치 위치 증발기 출구와 압축기 흡입관 사이에 설치됩니다. 사용 목적 증발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과도한 압력 강하를 방지하고, 일정한 증발온도를 유지합니다.다중 증발기 시스템에서 낮은 온도로 운전되는 증발기의 온도를 지나치게 낮아지지 않도록 조절합니다.특정 부하 조건에서도 증발기 내 온도를 유지하여 냉각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4.. 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2025. 3. 4.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1교시, 6번, 이상기체 거동을 하기 위한 조건(가정)을 설명하고, 보일의 법칙, 샤를의 법칙, 아보가드로의 법칙을 이용하여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유도하시오. 1. 문제 2. 이상기체 거동을 하기 위한 조건(가정)이상기체는 기체 분자 간 인력과 반발력이 없으며, 분자의 부피가 무시할 수 있는 이상적인 상태를 가정하는 모델입니다. 이상기체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 조건(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상기체의 가정 기체 분자는 점입자로 간주 → 기체 분자의 부피는 전체 부피에 비해 무시할 수 있음.기체 분자 간 인력과 반발력이 없음 → 분자 간 충돌과 벽과의 충돌만 존재하며, 충돌은 완전 탄성 충돌.기체 분자는 무작위 운동을 함 → 기체 분자는 모든 방향으로 빠르게 움직이며, 평균 운동에너지는 온도에만 의존.기체 분자의 평균 운동에너지는 절대온도에 비례 → 𝐸𝑘 ∝ 𝑇 3. 보일의 법칙(Boyle's Law), 압력과 부피의 관계보일의 법칙은 온도가 일정할.. 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2025. 3. 3.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2교시, 1번, 사람 신체의 열수지차에 의한 온열환경지표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1. 문제 2. OT (Operative Temperature)운영온도(OT, Operative Temperature)는 대류 및 복사 열전달을 고려하여 인간이 느끼는 종합적인 온열 환경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운영온도는 실내 공기 온도와 복사온도를 모두 반영하므로, 실내 환경의 체감온도를 평가하는 데 유용합니다. 실내 환경에서 체온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여기서, TO : 운영온도 (℃)Ta : 공기온도 ( ℃ )Tr : 평균 복사온도 ( ℃ )hc : 대류 열전달 계수 (W/m²·K)hr : 복사 열전달 계수 (W/m²·K) 3. ET (Effective Temperature)유효온도(ET, Effective Temperature)는 공기 온도, 습도 및 공기 속도를 .. 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2025. 2. 26.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1교시, 12번, 냉동창고에 적용되는 단열 방식의 종류를 쓰고 각각 설명하시오. 1. 설계 및 시공의 중요성 냉동 창고는 일반적인 건축물보다 올바른 설계, 고품질 재료, 숙련된 시공, 철저한 감독이 중요함다양한 현장 조건에서도 적절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함사용되는 재료는 서로 호환성이 있어야 함경험이 풍부하고 훈련된 감독자의 지도 아래 숙련된 작업자가 시공해야 함일반 시공자, 지붕, 단열, 기타 관련 시공자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임 2. 단열 공법의 분류 단열 패널(Insulated Structural Panel) 방식기계적 부착 단열(Mechanically Applied Insulation) 방식접착제 또는 분무형 폼(Adhesive or Spray-Applied Foam) 방식이들 방식은 단열층을 밀폐하고 기밀성과 방습성을 유지하도록 설계됨 3. 단열 및 방습층(증기.. 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2025. 2. 12.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2교시, 4번, VE(Value Engineering)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각각 설명하시오. 1. 정의제품, 서비스 또는 프로세스의 기능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키면서 비용을 절감하는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접근법입니다. VE는 주로 제품 개발, 제조, 건설 프로젝트 등에서 사용되며,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품질과 성능은 유지하거나 향상시키는 동시에 비용을 줄이는 데 초점을 둡니다. VE의 핵심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보 수집(Information Phase) 제품이나 서비스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고, 목적과 요구 사항을 명확히 정의합니다. 기능 분석(Function Analysis Phase) 각 구성 요소의 기능을 식별하고,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분석합니다. 기본 기능: 제품의 본질적 역할을 담당하는 기능부가 기능: 본질적 역할 외의 추가적인 역할 창의적 아이디어 개발(Creati.. 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2025. 2. 9.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2교시, 3번, 펌프에서 발생되는 현상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1. 캐비테이션(Cavitation)정의 캐비테이션은 펌프 내부의 압력이 액체의 증기압보다 낮아지면서 액체가 증발해 기포가 발생하고, 이 기포가 다시 높은 압력에서 터질 때 펌프 내부에 손상을 유발하는 현상입니다. 원인 펌프 흡입구의 압력이 너무 낮을 때. 높은 흡입 높이(Static Suction Head)흡입 배관의 마찰 손실이 크거나 밸브가 막혀 있을 때작업 유체의 온도가 높아져 증기압이 상승할 때 영향 기계적 손상: 기포가 터지면서 금속 표면에 충격을 가해 부식을 초래효율 저하: 펌프 성능 감소소음과 진동: 비정상적인 작동음과 진동 발생 예방 NPSH(순양정흡입양정, Net Positive Suction Head) 조건 확인 및 설계흡입 배관을 짧고 굵게 설계작업 유체의 온도를 낮게 유지 2. 수.. 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2025. 2. 8.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1교시, 4번, 열환경지표에서 풍속을 고려한 체감온도를 관련식을 포함하여 설명하시오. 1. 체감온도(Wind Chill Temperature, WCT)실제 기온보다 사람이 느끼는 추위를 나타내는 값으로, 기온과 풍속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풍속이 강할수록 체감온도는 낮아집니다.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TWC : 체감온도 (℃)T: 실제 기온 (℃)V: 풍속 (km/h, 바람이 5km/h 이상일 때 적용) 2. 체감온도의 특징바람이 없을 경우 (V=0)체감온도는 실제 기온과 동일하게 계산됩니다. 바람이 강할수록풍속이 증가하면 체감온도는 급격히 낮아지며, 특히 낮은 기온에서 바람의 효과가 더 크게 작용합니다. 극단적인 온도 및 풍속 조건체감온도가 급격히 낮아질 경우 저체온증이나 동상과 같은 건강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증가합니다. 3. 체감온도별 영향 및 대처방법구분체감온도영향대처 방법.. 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2025. 2. 4.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1교시, 3번, 냉각탑(Cooling Tower)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각각 설명하시오. 1. 쿨링 레인지(Cooling Range)냉각탑 내부에서 냉각수를 얼마나 식힐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냉각수의 입구 온도와 출구 온도 간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냉각 레인지는 냉각탑의 열 제거 능력을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Cooling Range = 입구 온도 − 출구 온도 입구 온도냉각탑에 들어오기 전의 냉각수 온도, 주로 열 교환기나 공정에서 열을 흡수한 후의 상태입니다. 출구 온도냉각탑을 거친 후의 냉각수 온도로, 일반적으로 더 낮아져서 다시 공정으로 순환됩니다. 예시입구 온도가 45°C이고 출구 온도가 35°C라면, 쿨링 레인지는 10°C입니다. 2. 쿨링 어프로치(Cooling Approach)냉각탑의 출구 냉각수 온도가 주어진 조건에서 이론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최저 .. 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2025. 2. 2. 공조냉동기계기술사134회, 1교시, 1번, 건물의 열평형 방정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건물의 열평형 방정식건물 내부 열 상태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방정식입니다. 건물의 에너지 절약 및 난방·냉방 설계에 사용합니다. C : 건물 내부 공기의 열용량 (J/℃)𝑑𝑇𝑖𝑑𝑡 : 내부 온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율 (℃/s)𝑇𝑖 : 건물 내부 온도 (℃)𝑄gain : 열 유입량 (W 또는 J/s, 예: 태양 복사열, 난방기구, 사람의 체온)𝑄loss : 열 손실량 (W 또는 J/s, 예: 외벽이나 창문을 통한 열 전달, 환기 손실) 2. 열취득량(Heat Gain)태양 복사열 Awindow : 창 면적𝐼 : 태양 복사 강도𝜏 : 유리 투과율𝛼 : 흡수율 내부 열원난방기, 조명, 사람, 전자기기 등에서 발생하는 열 2. 열손실량(Heat Loss).. 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2025. 1. 31.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1교시, 11번, RE100(Renewable Energy 100%)과 CF100(Carbon Free 100%)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1. 요약항목RE100CF100초점재생 가능 에너지 100% 사용탄소 배출이 없는 에너지 100% 사용에너지 범위태양광, 풍력, 수력 등 재생 가능 에너지재생 가능 에너지 + 원자력 포함대표 기업애플, 삼성전자, 마이크로소프트 등구글, IBM 등추진 방식재생 가능 에너지 구매 및 자체 생산실시간 무탄소 에너지 관리 및 기술 혁신 2. RE100(Renewable Energy 100%)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 가능 에너지(태양광, 풍력, 수력 등)로 전환하겠다는 약속입니다. 화석 연료 사용을 줄이고 재생 가능 에너지 시장 확대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비영리 단체인 The Climate Group과 CDP(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가 2014년에 시작기업은 재생 가능 에너지 인증서.. 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2025. 1. 30. 이전 1 2 3 4 ···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