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다시 시작하는 공부/전자응용기술사 135회7 전자응용기술사 135회, 1교시, 7번, 데이터 전송에서 베이스 밴드 변조의 Bipolar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문제 2. 베이스밴드 변조란? 베이스밴드 변조는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할 때, 반송파(carrier wave)를 사용하지 않고 데이터 신호 자체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즉, 디지털 신호(0과 1)를 전기 신호의 형태로 직접 변환해서 전송합니다. 대표적인 베이스밴드 변조 방식에는 Unipolar, Polar, Bipolar 방식이 있습니다. 3. Bipolar 방식이란?Bipolar 방식은 디지털 1을 전송할 때 +전압과 -전압을 번갈아 사용하고, 0은 0V (전압 없음) 으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특징 1을 보낼 때마다 +V와 -V를 번갈아가며 사용함으로써, 직류 성분(DC component) 이 없어집니다.0은 항상 0V이기 때문에 전압이 없는 상태로 처리됩니다. 예시(아래 표)데이터 출력 .. 다시 시작하는 공부/전자응용기술사 135회 2025. 4. 7. 전자응용기술사 135회, 1교시, 6번, FM용 무선 송신기의 구성요소 중 주파수 체배기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문제 2. 역할 변조된 신호의 주파수를 원하는 전송 주파수로 증가시키는 역활 FM 변조에서는 일반적으로 저주파수에서 정밀하게 주파수 변조(FM)를 수행한 후, 그 신호를 고주파로 증폭 및 변환하여 송신에 적합한 주파수 대역(예: VHF, UHF 등)으로 올립니다. 주파수 체배기는 이 과정에서 변조된 신호의 주파수를 2배, 3배, 4배 등 정수배로 증가시킵니다. 즉, 정밀한 저주파 변조 → 주파수 체배기 → 고주파로 전송의 흐름에서, 중간단계인 주파수 상승을 담당하는 것이 주파수 체배기의 역할입니다. 3. 작동 원리비선형 회로(non-linear circuit)의 특성을 이용하여 입력 신호의 고조파(harmonics)를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입력 주파수가 fff인 경우, 비선형 회로는 2f,3f.. 다시 시작하는 공부/전자응용기술사 135회 2025. 4. 5. 전자응용기술사 135회, 1교시, 4번, 고대역폭 메모리(HBM : High Bandwidth Memory)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원본 문제 2. 고대역폭 메모리(HBM : High Bandwidth Memory)HBM은 고성능 컴퓨팅, AI, 데이터 센터, 하이엔드 GPU, FPGA 등의 분야에서 고대역폭과 전력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메모리 기술입니다. 그러나 높은 제조 비용과 설계 복잡성으로 인해 일반적인 소비자용 제품보다는 고성능 전문 장비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최근 HBM3 및 차세대 HBM3E가 등장하면서 AI 및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HBM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관련 반도체 기업(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의 연구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원리HBM은 기존의 메모리 아키텍처와는 다르게 수직 적층(3D TSV, Through-Silicon Via) 기술을 활용하여 여러 개의 DRAM .. 다시 시작하는 공부/전자응용기술사 135회 2025. 3. 17. 전자응용기술사 135회, 1교시, 4번,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문제 2.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원리태양광 발전(PV, Photovoltaic)은 태양빛을 전기로 변환하는 기술입니다. 핵심 원리는 광전 효과(Photovoltaic Effect)로, 태양광 패널(태양전지)이 태양빛을 받으면 전자를 이동시켜 전류를 발생시키는 원리입니다. 태양전지(Solar Cell) 작동 원리 태양광 흡수 태양전지는 반도체(주로 실리콘)로 구성되며, 빛을 받으면 전자가 에너지를 얻어 이동함 전하 이동 태양전지 내에 형성된 PN 접합(P-N Junction)에서 전자가 이동하면서 전압을 형성 직류(DC) 전력 생성 이동한 전자들이 모여 직류(DC) 전력을 생성함 발전 시스템 구성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여러 구성 요소로 이루어집니다. 태양광 패널(모듈) 태양빛을 전기로 변환 인버터(In.. 다시 시작하는 공부/전자응용기술사 135회 2025. 2. 28. 전자응용기술사 135회, 1교시, 2번, 고주파 회로망의 해석에 사용되는 S-Parameter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문제 2. 정의S-파라미터(산란 매개변수, Scattering Parameters)는 고주파 회로에서 신호의 반사 및 전달 특성을 나타내는 매개변수입니다. 입력과 출력 간의 관계를 주파수 영역에서 표현하며, 네트워크 어드미턴스나 임피던스를 직접 측정하지 않고 전력 이득과 반사 계수를 분석하는 데 유용합니다. 3. 활용방안 RF 및 마이크로파 회로의 특성 분석안테나, 필터, 증폭기 등의 주파수 응답 평가임피던스 정합 및 전송선로 해석네트워크 분석기를 이용한 고주파 측정 이상으로 풀이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모두 힘내세요! 다시 시작하는 공부/전자응용기술사 135회 2025. 2. 21. 전자응용기술사 135회, 1교시, 1번, 아래와 같은 하틀리 발진기에서 발진주파수(kHz)와 발진에 필요한 트랜지스터의 최소전류증폭율을 구하시오. 1. 문제 2. 발진 주파수 계산하틀리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 𝑓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Leq : 등가 인덕턴스로 L1과 L2의 합C : 커패시터 값 즉, 계산하면, 3.최소 전류 증폭률 ℎ𝑓𝑒 (또는 𝛽) 트랜지스터의 발진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 전류 이득 βmin 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따라서, 최소한의 전류 증폭률 ℎ𝑓𝑒는 5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상으로 풀이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모두 힘내세요! 다시 시작하는 공부/전자응용기술사 135회 2025. 2. 21. 전자응용기술사 135회, 1교시, 3번, 최신 의료기기인 전자약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전자약의 정의전자약(Electroceuticals)은 전기, 자기, 초음파 등 물리적 자극을 이용하여 신경계나 특정 장기를 조절하는 의료기기입니다. 이는 전통적인 약물 치료와 달리, 신경 회로를 직접 조절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방식입니다. 2. 작동 원리인체의 신경 신호는 전기적 신호로 전달됩니다. 전자약은 이 신경 신호를 조절하여 특정 질환을 치료합니다. 약물 없이도 질병을 조절할 수 있어 부작용이 적습니다. 3. 기존 의료기기와의 차이점 기존 의료기기: 심장 박동기, 뇌심부자극기(DBS) 등은 특정 기관을 자극하는 방식전자약: 신경 네트워크를 세밀하게 조정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 4. 장점과 한계장점 부작용 감소: 약물 의존 없이 치료 가능비침습적 치료 가능: 일부 전자약은 외과적 수술 없이.. 다시 시작하는 공부/전자응용기술사 135회 2025. 2.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