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시작하는 공부/전자응용기술사 135회

전자응용기술사 135회, 1교시, 7번, 데이터 전송에서 베이스 밴드 변조의 Bipolar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도도한 쭌냥이 2025. 4. 7.
반응형

 

썸네일 이미지

 

1. 문제

 

 

2. 베이스밴드 변조란?

 

베이스밴드 변조는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할 때, 반송파(carrier wave)를 사용하지 않고 데이터 신호 자체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즉, 디지털 신호(0과 1)를 전기 신호의 형태로 직접 변환해서 전송합니다. 대표적인 베이스밴드 변조 방식에는 Unipolar, Polar, Bipolar 방식이 있습니다.

 

3. Bipolar 방식이란?

Bipolar 방식은 디지털 1을 전송할 때 +전압과 -전압을 번갈아 사용하고, 0은 0V (전압 없음) 으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특징

 

  • 1을 보낼 때마다 +V와 -V를 번갈아가며 사용함으로써, 직류 성분(DC component) 이 없어집니다.
  • 0은 항상 0V이기 때문에 전압이 없는 상태로 처리됩니다.

 

예시(아래 표)

데이터    출력 전압
1 +V
0 0
1 -V
0 0
1 +V
1 -V

 

4. Bipolar 방식의 장점

 

  • DC 성분이 없음: 전송선로에서 직류 성분이 없으므로 장거리 전송에 유리합니다.
  • 동기화(synchronization) 용이: 1의 전송 시 전압 변화가 있으므로, 수신기가 시점을 맞추기 좋습니다.
  • 에러 검출 가능성: 1이 나올 때마다 반드시 +V, -V가 번갈아 나와야 하므로, 반복된 전압이 나오면 에러로 감지할 수 있습니다.

 

5. Bipolar 방식의 단점

 

  • 0이 연속되면 동기화 어려움: 0이 연속되면 전압 변화가 없으므로, 수신기가 타이밍을 잃을 수 있습니다.
  • 복잡한 회로: 1을 번갈아가며 +V와 -V로 바꾸는 로직이 필요하므로 회로가 약간 복잡해집니다.

 

 

이상으로 풀이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모두 힘내세요!

 

 

728x90
반응형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