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 정보/애드센스

애드센스 2024년 2월 정책 변경에 따른 CPC 및 CPM 수익 비교

도도한 쭌냥이 2024. 2. 17.
반응형

 

도도한 쭌냥이

 

썸네일 이미지

 

1. 글을 작성하며

안녕하세요. 글 쓰는 아빠 도도한 쭌냥이입니다. 

2월 말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2월은 애드센스 정책 전환이 있었던 달입니다. 광고 수익 창출 모델이 CPC에서 CPM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CPC와 CPM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구글 애널리틱스를 통한 CPC 및 CPM 수익 변화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 CPC(클릭 당 비용)

구글 애드센스의 CPC는 '클릭 당 비용'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애드센스는 구글의 광고 서비스로, 웹사이트 소유자가 자신의 웹페이지에 광고를 게재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CPC는 광고주가 광고를 클릭할 때마다 광고 게재자(웹사이트 소유자)에게 지불되는 비용을 나타냅니다.

 

여기서 '클릭 당 비용'은 광고주가 광고에 대한 실제 클릭 수에 따라 지불하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즉, 광고를 클릭할 때마다 광고주는 해당 클릭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게 되며, 이 비용은 광고 클릭이 발생한 횟수에 비례합니다.

 

CPC는 특정 광고 캠페인이나 광고 세트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광고 게재자는 클릭당 수익을 최대화하여 수익을 창출하고자 합니다. 클릭당 비용은 광고주에게는 광고 효과를 측정하고, 광고 게재자에게는 수익을 예측하고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CPM(1000회 노출 당 비용)

구글 애드센스의 CPM은 '1000회 노출 당 비용'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CPM은 Cost Per Mille의 약자로, 광고주가 1,000번의 노출(광고가 사용자에게 표시된 횟수)에 대해 광고 게재자(웹사이트 소유자)에게 지불하는 비용을 나타냅니다. CPM은 클릭과는 달리 노출 수에 대한 비용을 측정합니다. 즉, 광고를 게재한 웹페이지가 사용자에게 표시될 때마다 광고주는 일정 비용을 지불하게 됩니다.

 

클릭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노출 횟수에 따라 광고 게재자에게 지불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CPM은 주로 브랜드 인지도 증가나 광고 메시지 전달에 초점을 둔 캠페인에서 사용됩니다. 광고주는 노출을 통해 광고가 더 많은 사람에게 노출되기를 원하며, 이를 통해 제품이나 브랜드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목적입니다.

 

 

4. 애드센스 2월 정책 변경에 따른 수익 변화 확인

제 블로그의 구글 애널리틱스 데이터 집계 결과입니다. 집계 결과에서 주목해야 할 항목은 ad_impression(광고 노출수)과 ad_click(광고 클릭수) 부분이며 해당 측정값을 비교하여 애드센스 정책 변화에 따른 수익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1 1월 구글 애널리틱스 측정값

2월 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해서 광고 클릭(ad_click) 부분을 동일하계 설정한 후 집계한 1월 데이터입니다. 

1월 데이터

 

4.2 2월 구글 애널리틱스 측정값

애드센스 정책 변경 후 2월 1일부터 2월 16일까지의 데이터 집계 결과입니다. 

 

2월 데이터

 

4.3 결과 분석

위 측정값을 분석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1월과 2월의 ad_click 측정값은 동일하다.
  • 1월과 2월의 ad_impression 측정값은 1월 10,016회이고 2월 9,601회로 1월 광고 노출이 2월 보다 415회 더 많다.
  • 1월과 2월의 총수익 값은 1월 1.96 달러이고 2월 3.04 달러로 2월이 1월보다 1.08달러 더 많다. 

 

위 내용을 종합해 보면 CPC 정책이 적용되는 1월 대비하여 CPM 정책이 적용되는 2월의 수익이 더 많습니다. 1월의 경우 ad_impression을 통해 발생한 수익에는 ad_click에 따른 노출 단가가 반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월보다 수익이 더 적습니다. 

 

이에 따라 제 블로그의 수익 발생 내용을 분석했을 때 2월 정책 변경을 통해서 수익이 증가했음을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해당 내용이 전체 블로그에 공통 적용되는 내용은 아닌 것 같습니다. 커뮤니티를 확인했을 때 방문자가 적은 블로그의 경우 수입이 증가한 경우가 많았고 고 수익을 창출하던 블로그의 경우, 최대 50%까지 수익이 급감했다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5. 글을 마치며

오늘은 애드센스 정책 변경에 따른 수익 변화를 알아보았습니다. 내용을 요약하면 방문자 유입이 적은 블로그의 경우 수익이 증가했을 가능성이 크고, 고 수익이 발생하던 블로그의 경우 수익이 급감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해당 내용은 참고하시기 바라며 실제로 자신의 블로그를 위와 같이 분석해서 앞으로의 수익 창출 방안을 검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하기와 공감 버튼 꾹!!

부탁드려요!!

 

 

도도한 쭌냥이

 
반응형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