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도한 쭌냥이
1. 글을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글 쓰는 아빠 도도한 쭌냥이입니다.
노령 인구가 늘어나면서 암 환자나 장기 이식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인구 분포가 고령화로 집중되면서 발생하는 문제가 아닐까 생각되네요. 그런데 이런 환자들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치료를 위해 필요한 이식 가능 장기도 많이 필요해집니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고 이에 따라 이식을 위한 장기도 함께 부족해지고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존 간 장기 이식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었고 이에 대해서 오늘 알아보려고 합니다.
2. 이종간 장기 이식
이종 간 장기 이식은 서로 다른 종(종류)에 속하는 두 개체 간에 장기 이식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이식은 동일 종(종류) 내에서 이루어지는데, 이는 동일한 종의 개체 간에 이뤄지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인간 간의 장기 이식이 이루어지는 경우, 수컷 사람으로부터 수컷 사람이나 암컷 사람에게 이식이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이종 간 장기 이식은 서로 다른 종에 속하는 두 개체 간에 이뤄지는 것입니다.
이는 인간과 동물 사이의 장기 이식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이종 간 장기 이식은 기술적으로 매우 어려우며, 면역 거부 반응과 호스트 면역 시스템의 장기 거부를 극복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종 간 장기 이식은 현재로서는 일반적으로 흔하지 않습니다.
3. 이종간 장기 이식 문제점
현재로서는 이종 간 장기 이식은 일반적으로 실용적이지 않습니다. 이종 간 장기 이식은 동일종 간 장기 이식보다 훨씬 복잡하고, 이식된 장기가 호스트의 면역체계에 의해 거부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면역억제제를 사용해야 하지만, 이는 다양한 부작용과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연구는 계속되고 있으며, 장기 거부 반응을 억제하고 이종 간 이식의 성공률을 향상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법과 기술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일반적인 장기 이식으로는 이종 간 이식이 쉽지 않습니다.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습니다.
- 면역 거부 반응
이종 간 이식에서는 수렵체(호스트)의 면역 시스템이 이식된 장기를 완전히 수용하지 않고 거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이식된 장기가 호스트의 면역 시스템에 의해 파괴되거나 기능을 잃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 면역억제제의 부작용
면역 거부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면역억제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러한 약물은 면역 시스템의 활동을 억제하고 이식된 장기의 거부를 방지할 수 있지만,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면역억제제는 감염, 종양 발생, 및 다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이식 호환성
서로 다른 종 간의 이식은 종 간의 호환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종 간의 차이로 인해 장기 거부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식의 성공률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 윤리적 고려
이종 간 장기 이식은 인간과 동물 간의 장기 이식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는 윤리적인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동물 권리와 관련된 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4. 최근 사례
리처드 슬레이먼은 돼지 신장 이식을 받은 최초의 생존자로 알려졌으나, 이식 후 두 달 만에 사망했습니다. 병원은 최소 2년은 장기가 기능할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예상과는 달리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의 죽음과 장기 이식과는 관련이 없다고 합니다. 그의 가족은 이식으로 더 많은 시간을 함께할 수 있었다는 사실에 감사를 표하며, 그의 희망과 낙천성이 영원히 기억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로런스 포시트는 지난해 유전자 변형 돼지의 심장을 이식받았으며, 수술 후 6주간 생존했습니다. 그러나 임종 직전에 심장에 강한 거부 반응을 보이며 숨졌습니다.
위 두 가지 사례 외에도 다양한 사례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아쉽게도 장기간 생존한 사례는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5. 글을 마치며
이종이식은 최근에 만들어진 기술은 아닙니다. 최초의 이종이식은 1906년 프랑스에서 이루어졌으며 48세 여성에게 돼지 신장을 이식했지만 몇 시간 지나지 않아 혈전증으로 사망했습니다. 이후 1960년대부터 장기 이식을 시도했고 2022년에 살아있는 사람에게 돼지 심장을 이식하는 최초의 수술이 이루어졌습니다.
현재까지고 계속해서 발전해 나가고 있고, 사람들의 수명을 늘려줄 혁신 연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미숙하지만 최근 사례를 보더라도 지속적으로 이종이식을 받는 사람들이 늘어날 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빠른 시일 내에 사람의 장기를 이용한 이식이 아니라 이종 간 장기 이식이 안정화될 날이 머지않은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도한 쭌냥이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를 방해하는 것이 너무 많아! 집중력을 되찾기 위한 방법 (0) | 2024.07.12 |
---|---|
탈모약 핀페이사아(Finpecia)와 에프페시아(f-Pecia) 비교 (0) | 2024.06.01 |
[건강]활기찬 누후 생활을 위한 노인 지원 사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0) | 2024.05.28 |
[건강]급성알콜중독(급성술중독)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0) | 2024.05.23 |
[건강]암종별 검진 주기 및 검진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0) | 2024.05.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