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문제풀이, 덕트의 소음과 진동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10가지를 나열하시오.

도도한 쭌냥이 2024. 2. 1.
반응형

 

도도한 쭌냥이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1회, 문제풀이, 덕트의 소음과 진동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10가지를 나열하시오.

 

1. 글을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글 쓰는 아빠 도도한 쭌냥이입니다. 

오늘 기술사 문제 중, 덕트의 소음과 진동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실무를 하고 계신 분들께도 유용한 정보라고 생각됩니다. 해당 방법은 소음 및 진동 경로에 따라 예방하는 방법을 분류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오늘도 열심히 공부하도록 합시다!!

 

2. 예방하기 위한 방법

2.1 전달경로 1

  • 경로

음원에서 귀로 방사되는 직접적인 소리 / 벽, 천장, 바닥에서 반사되는 소리

 

  • 해소방법

직접적인 소리는 조용한 장비를 적용하는 것으로만 조절이 가능함

반사되는 소리는 실내와 장비가 있는 장소에 흡음재를 추가하여 해소 가능함

 

 

2.2 전달경로 2

  • 경로

덕트와 케이스에서 방사되는 공기 및 구조물의 소리가 벽과 천장을 통해 실내로 전달

 

  • 해소방법

저 난류를 위한 덕트 및 피팅을 설계

소음이 중요하지 않은 곳에 속도가 높은 덕트

배치네오프렌 또는 스프링 걸이를 통해 구조물 소리 및 진동 전달 최소화

 

2.3 전달 경로 3

  • 경로

공급 및 반환 덕트에서 방사되는 공기 소리가 취출구를 통해서 전달

 

  • 해소방법

조용한 송풍기를 선택하여 적용

흡음재 적용

공급 및 반환 덕트에 소음기 설치

 

2.4 전달 경로 4

  • 경로

기기실 벽과 바닥을 통해 인접한 실내로 전달되는 소리

 

  • 해소방법

장비실 이격 설치

기계 설비실 벽에 석조 블록 또는 콘크리트 사용

기계실 바닥에 부유층(floating floors) 적용

 

2.5 전달 경로 5

  • 경로

건물 구조물을 통해 인접한 벽과 천장으로 전달되는 진동

 

  • 해소방법

진동 댐퍼(절연체)에 기계를 장착

동적 하중을 위한 기계 장비실을 설계

회전 및 왕복 장비의 균형을 유지

 

2.6 전달 경로 6

  • 경로

파이프와 덕트 벽으로 전달되는 진동

 

  • 해소방법

네오프렌 또는 스프링 걸이를 사용하여 진동 전달 최소화

파이프, 덕트 및 진동 기계 사이에 플렉시블 커넥터 설치

 

2.7 전달 경로 7

  • 경로

외부로 방사되는 소음이 실내 창문으로 유입

 

  • 해소방법

차단막과 덮개를 사용하여 소음 경로 차단

소음이 적은 장비 적용

 

2.8 전달 경로 8

  • 경로

실내 소음

 

  • 해소방법

소음이 적은 장비 적용

 

2.9 전달 경로 9

  • 경로

다른 실의 취출구로 유입되는 소음이 덕트를 통해 재 유입되는 경우

 

  • 해소방법

방 사이 벽의 전달 손실 고려하여 덕트 감쇠 설계 및 설치

덕트 작업 시 크로스토크 소음기 사용 

 

2.10 전달 경로 10

  • 경로

실내 파티션을 통한 소리 전달 경로

 

  • 해소방법

파티션을 천장 슬라브까지 확장하고 주변을 단단히 밀봉

모든 파이프, 도관, 덕트 및 기타 파티션 관통부 밀봉

 

3. 덕트의 적용 가능한 소음기 종류

3.1 Dissipative silencers(소산식 소음기) 사용

  • 소리-흡음 메커니즘으로서 유리 또는 무기질 섬유 매체를 사용하는 소음기
  • mid frequency와  high frequency 소음에 효과적임

 

3.2 Reactive silencers(공명기형 소음기) 사용

  • 임피던스 변화에 의존하여 에너지를 소스 쪽으로 반사시키고 수신기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원리 사용
  • 주로 병원, 실험실 또는 엄격한 공기 품질 기준이 필요한 기타 지역에 적용
  • 금속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고체와 구멍이 뚫린 두 가지 형태의 금속을 사용
  • 구멍이 뚫린 금속 뒤에 공진기 또는 확장 챔버를 설치
  • 특정 주파수 범위에 대한 설계일 때는 매우 효과적이고 조밀하게 설계할 수 있음

 

3.3 Active silencer system(능동 소음기 시스템) 사용

  • 마이크로폰, 스피커, 그리고 적절한 전자기기를 사용하여 소음 저감
  • 180도의 위상을 가진 소리를 생성하여 들어오는 소음 에너지와 상쇄하는 원리 적용
  • 마이크로폰은 덕트 내의 소음 필드를 샘플링하고, 스피커는 원래의 소음과 반대 위상의 신호 생성
  • 일반적으로 31.5에서 250 Hz 옥타브 밴드에서만 효과적임
  • 최대 30 dB의 소음 저감 능력을 가짐
  • 공기 유로를 차단하는 장애물이 없어 압력 강하가 거의 없음
  • 능동 소음기는 과도하게 난류인 경우 효과적이지 않음
  • 비교적 긴 직선 덕트 및 유속 7.5 m/s 미만에서 사용 제한

 

3.4 흡음덕트 적용

  • 덕트 내부 흡음특성을 갖는 재료를 부착된 형태의 덕트
  • 시공부위의 배관 형상과 제어대상의 성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됨

 

4. 글을 마치며

오늘도 정말 열심히 공부한 것 같습니다. 해당 자료 만드는데 2시간 정도 걸린 것 같습니다. 이렇게 오래 걸릴 줄은 몰랐네요. 하지만 점점 발전하고 있는 것 같아서 뿌듯하고 앞으로 더욱 열심히 하겠다고 다짐해 봅니다. 모두들 파이팅!! 하세요. 

 

 

 

도도한 쭌냥이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