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시작하는 공부/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4교시, 6번, 대기환경보전법에서 정한 냉매의 관리 기준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도도한 쭌냥이 2025. 3. 15.
반응형

 

썸네일 이미지

 

1. 원본문제

공조냉동기계기술사 134회, 4교시, 6번, 대기환경보전법에서 정한 냉매의 관리 기준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 1. 원본문제

 

2. 냉매관리기준(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124조의7)

법 제76조의8제3항에 따른 냉매관리기준은 별표 35의3과 같습니다. (원문은 아래 PDF 파일 참조)

 

[별표 35의3] 냉매관리기준(제124조의7 관련)(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pdf
0.14MB

 

일반 기준

냉매사용기기의 소유자, 점유자, 또는 관리자(이하 "소유자등")는 냉매를 대기 중으로 배출해서는 안 됩니다. 또한, 냉매를 회수, 재사용, 보관, 운반, 인계하는 과정에서 누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냉매는 오존층 파괴 및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물질이므로, 적절한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 냉매의 누출 방지와 환경 보호를 위한 관리 책임이 소유자등에게 있습니다.

 

냉매사용기기의 유지·보수 기준

냉매사용기기를 사용하는 동안 냉매의 누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음을 준수해야 합니다.

 

  • 정기 점검: 냉매사용기기의 상태를 점검하고 냉매 누출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필요 시 유지·보수: 점검 결과 문제가 확인되면 즉시 유지·보수를 실시해야 합니다.

 

※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냉매의 불필요한 손실을 방지하고, 장비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냉매의 회수 기준

냉매를 회수해야 하는 경우

소유자등은 아래의 경우에 냉매를 회수해야 하며, 이를 직접 수행하거나 냉매회수업자에게 맡겨야 합니다.

 

  • 냉매사용기기를 폐기할 경우
  • 냉매사용기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양도할 경우 (유상 또는 무상)
  • 냉매사용기기를 유지·보수하거나 다른 장소로 이전할 경우
  • 사업장 내에서 냉매를 재사용하려는 경우

 

냉매 회수 시 준수해야 할 안전 및 점검 기준

안전 유지 기준

 

  • 냉매를 회수하기 전, 냉매회수기기와 안전장치 등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냉매 회수 장소가 화기(불), 인화성 물질, 발화성 물질과 가까운 경우, 점화원이 될 수 있는 장비를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 회수 작업이 끝난 후에는 냉매사용기기의 성능 유지 및 작동성 확인을 위한 안전 조치를 해야 합니다.

 

회수 및 점검 기준

 

  • 냉매 회수 시, 회수구의 압력이 특정 기준 이하가 되도록 유지해야 합니다.
  • 상용 온도에서 0.2MPa 미만인 경우 → 음압 -0.07MPa
  • 상용 온도에서 0.2MPa 이상인 경우 → 0MPa

 

  • 냉매 회수 전에 누출감지기를 이용하여 누출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만약 누출이 확인되면 즉시 보수 후 회수해야 합니다.
    • 회수 후에도 냉매 누출 여부를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
  • 회수 과정에서 다른 종류의 냉매가 혼입되지 않도록 종류를 구분해야 합니다.
    • 회수된 냉매는 용기에 담아 종류별로 구별하여 표기해야 합니다.

 

  • 냉매를 밸브를 이용해 회수할 경우, 개폐 방향을 표시하고 정확하게 조작해야 합니다.
    • 냉매회수용기에 충전할 때, 과충전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냉매회수용기에는 최대 충전압력 또는 충전량이 정해져 있으며 이를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
    • 냉매 회수 장소가 진동이 심한 경우,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조치를 해야 합니다.

 

  • 보관 시설에서 냉매회수용기를 관리할 때의 기준
    • 빈 용기와 충전된 용기를 구분하여 보관
    • 냉매 종류별로 따로 저장
    • 넘어짐 방지를 위해 충격 보호 조치
    • 보관 시설 내에 불필요한 물건을 두지 않아야 함

 

  • 냉매회수업자는 회수 후 '냉매회수결과표'를 작성해야 합니다.
    • 등록된 기술 인력이 이를 작성하도록 해야 합니다.

 

  • 소유자등이 냉매회수업자에게 냉매 회수를 맡길 경우, 회수 기준에 적합하게 작업이 이루어지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냉매의 처리 기준

냉매를 회수한 후 처리하려면, 소유자등 또는 냉매회수업자는 다음 기관 중 하나에 냉매 처리를 맡겨야 합니다.( 소유자등이 냉매회수업자에게 회수를 맡긴 경우, 냉매가 적절하게 처리되었는지 확인할 의무가 있음)

 

  • 폐가스류 처리업 등록을 한 자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 제32조의2제1항)
  • 폐기물 중간처분업 허가를 받은 자 (폐기물관리법 제25조제5항제2호)
  • 폐기물 종합처분업 허가를 받은 자 (폐기물관리법 제25조제5항제4호)
  • 폐기물 종합재활용업 허가를 받은 자 (폐기물관리법 제25조제5항제7호)

 

추가 사항 (비고)

위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도 냉매 관리 기준에 필요한 추가 사항은 환경부 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과 협의하여 고시할 수 있음.

 

3. 요약

일반 기준

 

  • 냉매사용기기의 소유자, 점유자 또는 관리자는 냉매를 대기 중에 배출해서는 안 됨.
  • 냉매의 회수, 재사용, 보관, 운반, 인계 과정에서 누출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함.

 

냉매사용기기의 유지·보수 기준

 

  • 냉매 누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함.
  • 점검 결과에 따라 유지·보수를 실시해야 함.

 

냉매의 회수 기준

냉매를 회수해야 하는 경우

 

  • 냉매사용기기 폐기 시
  • 냉매사용기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양도 시
  • 유지·보수 또는 이전 설치 시
  • 사업장 내에서 냉매를 재사용할 경우

 

회수 과정에서는 안전기준과 점검기준을 준수해야 함

 

  • 회수 전 장비 점검 필수
  • 회수 장소의 안전 확보(화기 및 인화성 물질 제거)
  • 냉매 종류별 구분 및 표시 필요
  • 냉매 회수 후 누출 여부 재확인

 

냉매의 처리 기준

 

  • 회수한 냉매는 적절한 폐기물 처리 허가를 받은 기관에 위탁 처리해야 함.
  • 냉매회수업자는 회수 후 냉매회수결과표를 작성해야 함.

 

 

이상으로 풀이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모두 힘내세요!

 

 

728x90
반응형

댓글